본문 바로가기

iOS/가지가지 iOS 리젝 썰푼다!

📱iOS앱 만들때 소셜 로그인만 구현해도 거절 안당한다?

처음으로 iOS앱을 개발하면서 느낀 것중에 가장 크게 느낀것은 "애플의 앱 심사는 까다롭다!" 라는 것인데요..
앱 심사가 까다롭다보니 자연스럽게 앱 서비스를 구현할 때 소셜로그인만 구현해도 통과할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소셜로그인을 붙인다는 것은 개발에서는 해당 라이브러리들을 다 적용해야하는 일이 생기지만 사용자 관점에서는 자체 로그인보다는 빠르게 회원가입을 하거나 로그인을 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자체 로그인에서 필요한 화면들도 사라지죠!
소셜로그인만 달고 혹시나 해당 이유때문에 거절당한다면 그때 자체 로그인을 추가 구현해도 되니 일단 도전해보았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소셜로그인만으로도 앱 심사는 통과합니다!

 

일단 도전!

이번에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적용해보았습니다.
이번에 "가슴속3천원" 이라는 붕어빵 지도 서비스를 적용하면서 카카오 로그인과 애플로그인만 구현했습니다.

카카오와 애플로그인만 구현


소셜 로그인을 제공할 경우에 애플 로그인도 동등하게 제공을 해야한다는 정책이 있어서 카카오와 애플 두개의 소셜 로그인을 적용하였습니다.

애플의 심사지침!

 

앱 심사 정보는 어떻게?

앱 개발이 끝나고 App Store Connect를 통해 앱 심사를 요청할때 적어야하는 항목중에 "앱 심사 정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이 항목은 앱을 사용하기 위해 로그인이 필요하다면 심사할때 사용할 수 있는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알려달라는 항목입니다.
앱을 사용하는데 회원가입 필요 없이 모든 기능이 사용 가능하다면 이 항목을 적을 필요가 없지만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앱은 회원기능이 있기 때문에 여기에 테스트 계정 정보를 적어야합니다.

App Store Connect 앱 심사 정보

소셜 로그인만 구현되어있어서 자체적인 테스트 계정이 없을 경우에는 어떻게 적어야할까요?
간단하게 소셜 계정 정보를 적으면 됩니다! 물론.. 소셜계정은 테스트계정 없이 대부분 개인 계정이라 조금 께름칙하지만.. 소셜 로그인만 구현되어있을 경우에는 소셜 계정을 알려줘야하므로 어쩔수 없을 것 같네요 ㅠㅠ

또한 심사위원이 잘 파악할 수 있도록 메모란에 추가적인 내용을 적어주면 심사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좋습니다!
위에 적은 소셜 계정은 어떤 소셜 서비스의 계정이고 앱에서 어떻게 로그인 하면 되는건지 설명을 친절하게 적어주면 심사위원이 심사를 하는데 좀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